전체 글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액티비티 생명주기(Activity LifeCycle)안드로이드 2019. 12. 18. 13:00
안드로이드에서 화면이 곧 Activity입니다. 안드로이드 앱을 사용하다보면 여러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앱을 사용하다가 종료시킬 수도 있고, 앱을 사용하는 도중에 전화가 오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전화가 끊기면 다시 앱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안드로이드에서 Activity의 상태를 알아차릴 수 있는 방법이 중요하게 됩니다. 이에 안드로이드의 Activity 클래스는 Activity의 상태가 변화하는지를 알아차릴 수 있는 여러 콜백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MainActivity.java 파일에 기본적으로 보이는 onCreate() 메서드도 이 콜백 메서드에 해당합니다. 대표적으로 6가지의 콜백 메서드가 있습니다. onCreate(), onStart(), onResume()..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빌드 과정 및 Gradle Scripts 정리안드로이드 2019. 12. 18. 09:14
먼저 안드로이드 빌드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안드로이드 컴파일러가 소스 코드를 DEX 파일로 변환하고, 리소스는 컴파일된 리소스로 만듭니다. 2. 이를 바탕으로 APK Packager가 DEX 파일과 컴파일된 리소스를 APK로 결합합니다. 3. 구글 플레이 등의 마켓에 배포할 수 있도록 서명하는 절차를 거친 후 APK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해주는 안드로이드 공식 빌드 툴이 Gradle입니다. Gradle을 통해 원하는 APK를 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build.gradle 파일에서 원하는 빌드 설정을 바꿀 수 있습니다. build.gradle 파일은 두가지가 있는데 두가지 모두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프로젝트 단위의 빌드 설정 파일입니다. 이파일은 모든 모듈에 적용되는 빌드 구성..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프로젝트 파일 구조안드로이드 2019. 12. 18. 07:52
처음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만들면 다음과 같은 폴더 구조를 가집니다. 이 중 주로 다루게 될 부분은 이 3가지의 폴더입니다. [manifests]는 앱의 설정에 관한 정보를 넣을 때 사용합니다. [java]는 소스코드를 넣어서 동작과 관련된 부분을 코딩할 때 사용합니다. [res]는 resource 폴더로서 화면을 구성하거나 아이콘 등의 기타 파일들을 넣을 때 사용합니다. manifests 폴더를 펼쳐보면 매니페스트 파일이 나옵니다. 매니페스트 파일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링크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s://gongmudev.tistory.com/4 java 폴더를 펼쳐보면 3가지의 폴더가 나오게 됩니다. 모두 같은 패키지명으로 3개의 폴더가 존재하는데 첫번째인 MainActivity.java는 우리..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Manifest 파일 기초안드로이드 2019. 12. 18. 07:27
처음에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프로젝트를 만들면 들어있는 Manifest 파일의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manifest 태그 바로 밑에는 패키지 속성이 달리게 되어 앱의 패키지 이름을 정의하게 됩니다. manifest 태그 안에는 application 태그를 갖습니다. application 태그에는 시스템에 이 앱의 주요 정보를 제공합니다. allowBackup 속성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백업 기능에 이 앱을 포함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true이면 재설치시 기존 정보를 복원하고 false이면 재설치하더라도 항상 새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icon 속성은 안드로이드 앱 런처에 이 앱의 아이콘 정보를 전달합니다. label 속성은 앱의 이름을 전달합니다. roundIcon 속성은 라운드 아이..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오토 임포트 설정안드로이드 2019. 12. 18. 06:19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Import를 자동으로 해줄 수 있는 Auto Import 기능 설정 방법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1. [File - Settings]에 들어갑니다. 2. [Editor - General - Auto Import] 탭에서 [Insert imports on paste] 속성을 All로 설정하고, [Add unambiguous imports on the fly] 속성에 체크한 후 OK를 클릭 이렇게 설정하면 기존 패키지에 있는 내용을 작성할 때 임포트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임포트 해주게 됩니다. 이상 오토 임포트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